목록C언어 (17)
코린이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는 다른 연산자들과는 다르게 피연산자가 3개이며 C언어에만 있는 연산자이다. 삼항 연산자의 원형으로는 조건식 ? 반환값1 : 반환값 2로 되어 있고 반환값 1은 참일 때의 값을 반환하고 반환값 2는 거짓일 때의 값을 반환한다. #include int main(){ printf("연산 결과: %d\n",3 == 5 ? 11 : 22); return 0; } 위의 코드를 보면 연산 결과가 3과 5가 같으면 11을 반환하고 아니면 22를 반환하는 코드이다. sizeof 연산자 sizeof 연산자는 넘겨주는 값의 크기를 구하는 연산자로 메모리 크기를 알려주는 함수이다. sizeof 연산자의 원형은 sizeof(크기를 구해줄 값)으로 되어있다. (sizeof는 학원에서 제대로 알려주지 않아..
오늘은 간단하게 비트 연산자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았다. 비트 연산자 10진수를 2진수 형태로 각 비트별로 연산을 진행해 준다. 우선 2진수는 표시할 수 있는 법이 0,1로 2개만 표현이 가능하다. 0~1까지 2개의 숫자를 세다가 더 이상 표현 수가 없을 때 높은 자릿수를 1씩 증가시켜 다음 수를 표현한다 &(비트 AND 연산) 0101 1000 = 88 & 0100 1100 = 76 ----------------- 0100 1000 = 72 두 개의 2진수들은 각각 88과 72의 값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and 연산을 하면 두 비트의 값이 전부 1이면 1을 반환한다. 그러므로 두 값은 0100 1000을 반환하여 72의 값이 나왔다. |(비트 OR 연산) 0101 1000 = 88 | 0100 1100..
연산자 저번에 산술연산자까지 공부를 하였고 다음으로는 복합 대입, 증감, 비교, 논리 연산자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먼저 복합 대입 연산자란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이 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이다.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더한 후, 그 결괏값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에서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뺀 후, 그 결괏값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곱한 후, 그 결괏값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나눈 후, 그 결괏값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의 피연산자를 나눈 후, 그 결괏값을 왼쪽의 피연산자에 대입 소스코드 #inc..
상수 상수는 항상 같은 수로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수에는 리터럴 상수랑 심벌릭 상수가 있다. 리터럴 상수 리터럴 상수란 사용자가 작성하는 문자 그대로를 의미 즉) 문자, 정수, 실수, 문자열 그 자체를 의미 심볼릭 상수 심볼릭 상수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상수이다. 선언 방법으로는 자료형 상수면;으로 해준다. 이때 자료형의 앞이나 뒤에 const 키워드를 추가해준다. ※심볼릭 상수를 선언할 때에는 반드시 초기화를 같이 진행해 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후에 값을 할당받을 때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소스코드 #include int main(){ printf("%d\n",120); printf("%s\n","ABcd"); const int con = 5; printf("con의 값: %d..
변수와 자료형 첫 번째로 변수는 값이 변하는 수로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고 해당 공간을 변수 이름으로 접근해 사용하는 개념으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으로는 자료형 (int, long, char, double...) 변수명;으로 선언해 준다. 변수를 선언하면 기존의 공간에 존재하는 데이터가 있는데 보통 이런 데이터를 보고 쓰레기 값이라고 부른다. 쓰레기 값을 초기화해줄 때는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해 주면 된다. 변수를 선언할 때 주의할 점 한 개의 변수에는 반드시 한 개의 데이터만 저장돼야만 하고 변수는 같은 이름을 사용할 수 없다. 변수 선언 규칙 변수 이름은 영문자(대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만 구성이 가능하다.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변수의 이름 사이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
C언어의 printf();에서 사용하는 서식 지정자(format specifier)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다. 기본 서식 지정자로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포인터의 메모리 주소를 출력하는 기본 서식 지정자이다. 서식 지정자 %c: Character, 하나의 문자를 지정할 때 쓰인다. ★ %s: String, 문자열★ %d: Decimal, 정수★ %f: Float, 실수★ %o: Octal, 8진수 정수 %x: Hexadecimal, 16진수 정수 %P: Pointer, 주소★ %u: Unsigned, 부호가 없는 10진수 %%: 퍼센트 출력 여기서 ★는 가장 많이 쓰인다. 소스코드 #include int main() { printf("%c\n",'C'); //C 출력 printf("%s","AB..

C언어는 사람과 컴퓨터가 대화를 하기 위한 언어로 사람이 명령을 내리면 컴퓨터가 실행하는 과정으로 고급 언어라고도 합니다. C언어의 기본적인 특성 작성되는 코드는 ;으로 끝나야 한다.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자유 형식(free-format)을 허용한다. 절차 지향적 언어이다. #include int main(){ printf("Hello World!"); return 0; } 먼저 #include 에서 stdio.h는 기본 입출력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헤드 파일로 c언어를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적어야 하는 헤드 파일입니다. int main()는 주된 코드의 영역을 알려주는데 주된 영역은 반드시 하나만 존재해야 합니다. return 0는 값을 반환 해주는 코드입니다. C언어에서 제어 문자가 있는데 제어 문..